반응형
서버란 ?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으면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하는 컴퓨터 혹은 프로그램’
‘요청을 받으면 데이터를 보내주는 기계’
서버에 요청할 수 있는 4가지 방법
웹서버에 할 수 있는 요청은 4 종류
1. 읽기(GET) 요청 (웹페이지를 읽을 때)
2. 쓰기 혹은 생성 (POST) 요청 (글쓸 때, 로그인할 떄)
3. 수정 (PUT) 요청 (글이나 댓글 수정)
4. 삭제 (DELETE) 요청 (글이나 댓글 삭제)
가장 쉬운 GET 요청 방법만 한번 살펴보자
가장 쉬운 GET 요청은 웹페이지를 읽을 때 사용합니다.
여러분 코딩하다가 갑자기 웹툰이 보고싶으면 어떡합니까.
네이버 서버에게 “네이버 웹툰 페이지를 읽고 싶어요~”
이렇게 요청하면 되겠죠?
정확히 말하면 네이버 서버에게 GET 요청(읽기 요청)을 하시면 됩니다.
★ GET 요청을 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바로 브라우저 주소창에 URL을 입력하는 것입니다.
브라우저의 URL입력란이 바로 GET 요청하는 곳입니다.
여기에 알맞은 URL을 입력하면 네이버 웹툰을 자유자재로 읽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URL을 외우는건 매우 어렵기 떄문에 웹개발자들은
버튼을 누르면 URL 이동을 할 수 있게 HTML을 짜놓는 것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