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Node

· Web/Node
app.listen()은 원하는 포트에 서버를 오픈하는 문법 listen(서버를 오픈할 포트번호, function(){서버 오픈시 실행할 코드}) 위 코드를 잘 작성하고 New Terminal 눌러 터미널을 켜서 node server.js를 입력하면 서버가 뜹니다. nodemon 설치 터미널 켜신 다음 npm install -g nodemon 입력 설치가 잘 되었다면 이제 서버를 실행할 때 nodemon server.js 라고 입력 파일 저장할 때 마다 이제 지가 알아서 서버를 새로 시작 powershell 관리자 권한 실행
· Web/Node
https://nodejs.org/ko/ Node.js Node.js® is a JavaScript runtime built on Chrome's V8 JavaScript engine. nodejs.org 위사이트로 접속 1. Node.js 설치가 필요합니다. 10버전 이상이 필요하니 이전에 설치하셨던 분들은 신버전으로 다시 설치하십시오. (중요) 설치 경로 임의로 바꾸시면 npm 어쩌구 이런 명령어가 안먹을 수 있습니다. 경로는 건들지말고 C드라이브 기본 경로로 냅둡시다. (더 중요) 2. VS code 에디터가 필요합니다. 비쥬얼 스튜디오 코드 Visual Studio Code 라고 부르는 에디터인데 역시 구글 검색해서 설치합니다. 설치 후 실행까지 하도록 합시다. (바탕화면에 아이콘이 안보이면 검색..
· Web/Node
JavaScript 구동 엔진인 V8의 등장 크롬, 파이어폭스, 익스플로러 이런 브라우저들이 자바스크립트를 읽고 해석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바스크립트를 빠르게 읽고 해석하면 웹사이트 렌더링 성능도 빨라지니 브라우저 개발자들은 자바스크립트를 해석할 수 있는 엔진 개발에 열성이었습니다. 그러다가 구글 사내에 있던 ‘크롬 브라우저 개발자’들이 문제를 일으킵니다. 자바스크립트 해석엔진인 V8이라는 프로그램을 만들었는데 성능이 너무나도 뛰어난 나머지 V8을 자랑하려고 이것만 똑 떼어서 살을 붙여 출시하게 됩니다. 그리고 Node.js라고 이름을 짓습니다. Node.js 를 한줄 요약하자면 자바스크립트를 브라우저 말고도 로컬 PC에서도 실행시켜줄 수 있는 실행창(런타임)입니다. Node.js를 실행하면 그냥 자바스..
· Web/Node
서버란 ?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으면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하는 컴퓨터 혹은 프로그램’ ‘요청을 받으면 데이터를 보내주는 기계’ 서버에 요청할 수 있는 4가지 방법 웹서버에 할 수 있는 요청은 4 종류 1. 읽기(GET) 요청 (웹페이지를 읽을 때) 2. 쓰기 혹은 생성 (POST) 요청 (글쓸 때, 로그인할 떄) 3. 수정 (PUT) 요청 (글이나 댓글 수정) 4. 삭제 (DELETE) 요청 (글이나 댓글 삭제) 가장 쉬운 GET 요청 방법만 한번 살펴보자 가장 쉬운 GET 요청은 웹페이지를 읽을 때 사용합니다. 여러분 코딩하다가 갑자기 웹툰이 보고싶으면 어떡합니까. 네이버 서버에게 “네이버 웹툰 페이지를 읽고 싶어요~” 이렇게 요청하면 되겠죠? 정확히 말하면 네이버 서버에게 GET 요청(읽기 요청)..
불타는고굼이
'Web/Node' 카테고리의 글 목록